에어드랍 다계정 가이드 – 거래소 멀티지갑 및 서브계정으로 지갑간 교류 없애기

에어드랍 작업 특성상 하나의 계정에 몰빵하는것보다 몇개의 계정으로 적당히 나누어 작업하는 쪽이 유리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들 다계정을 하다보니 , 프로젝트 입장에서는 다계정 및 봇 (흔히 시빌이라고 하죠) 을 거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예전과는 달리 대부분의 고인물들은 자신만의 다계정 방식이 존재하고 , 정보도 많겠지만 , 입문자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도록 글을 작성해볼까 합니다.

현재까지의 추세를 보면 , IP를 보는 경우는 생각보다 적고 , 아래와 같은 항목들을 주로 봅니다

  • 최소 기준치 도입 (ex 포인트 얼마 이하면 에어드랍 X)
  • 동일 패턴으로 작업
  • 하나의 지갑에서 자금을 뿌린경우
  • 작업 이후 하나의 지갑으로 돈을 모을경우
거래소 커미션 배너

다계정 감지 패턴

프로젝트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보통 퍼프덱스/예치작은 다계정을 덜 빡세게 잡고 , 트잭작이나 무료/소액 에어드랍이 다계정을 빡세게 쳐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KYC를 도입해 버리거나 (주로 테스트넷or소액) , 최소 점수컷을 두는 경우 (주로 퍼프덱스/예치작) , 패턴으로 잡는경우 (주로 트잭작)

웜홀 시빌 감지
웜홀 시빌 감지

웜홀의 경우 동일 패턴 및 한 지갑에서의 가스비 뿌리기 등을 한 사람들을 시빌로 간주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젝트가 다계정을 감지할때 지갑 간 교류를 봅니다.

예를 들어 , 자신의 프로젝트에 참여한 100개의 지갑이 서로 교류가 있다면 , 같은 사람의 계정으로 인식하고 에어드랍을 주지 않을수 있습니다.

한두번의 교류는 괜찮을수도 있지만 , 이것도 프로젝트 나름이기에 미리미리 대비를 해두면 좋겠죠.

곰블 시빌
곰블 시빌

1순위로 지갑간 교류 조심하기 , 2순위로 동일 패턴 조심하기 (계정마다 Dapp 사용 순서 다르게하기 등) , 3순위로 IP 조심하기

만약 이더리움 관련 프로젝트 (특히 L2)라면 메인넷에 잔액 채워두기 + 메인넷 트잭까지 (ENS 등) 찍어두기

인플이 가이드용으로 짜둔 루트를 그래로 따라하다가 동일 패턴으로 걸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웜홀 이렇게 걸린사람 엄청 많음)

어렵더라도 본인만의 루트를 짜고 , 동일한 루트를 사용하더라도 중간에 다른트잭이라도 끼워넣는 습관을 들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까지 하면 웬만하면 안걸림)

IP는 개인정보 이슈 등으로 인해 보는 경우가 거의 없는것 같긴 한데 , 혹시 모르니 신경쓰면 좋긴 합니다

IP는 오히려 소셜 (트위터 등) 계정 밴을 피하기 위해 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마저도 트위터 계정을 사는게 프록시 비용보다 싸서 몇몇 고수분들은 밴당하면 갈아타는 식으로 하시더라구요. 이건 선택


지갑간 교류 피하는법

출금시

거래소 > 개인지갑으로 출금시에는 거래소 핫월렛에서 출금이 되기에 상관이 없지만

바이낸스 15번 핫월렛
바이낸스 15번 핫월렛

개인지갑 > 다수의 개인지갑으로 뿌리거나 , 개인 지갑간 지속적인 교류가 있을시 높은 확률로 시빌로 인식이 됩니다.

출금시에는 > 귀찮고 수수료가 비싸더라도 무조건 CEX에서 출금. API 이용하면 편합니다.

입금시

거래소의 멀티지갑 및 Sub Accoun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셔야 합니다.

바이낸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체인은 20개의 지갑을 지원하긴 하지만 다른 체인은 멀티지갑 지원 X

저는 주로 비트겟 (대부분의 체인 지원 , 계정당 50개 지갑) / OKX (대부분의 체인 지원 , 20개 지갑) 이렇게 두 거래소를 사용합니다.

엑셀에 지갑별로 도착 지갑 (거래소 지갑)을 정리해 두시면 실수를 방지할수 있습니다.

비트겟 멀티지갑 및 서브계정

비트겟은 계정당 50개의 지갑을 지원하며 , 20개의 서브어카운트를 지원합니다.

계정당 총 1000+@개의 지갑을 만들어서 관리할수 있다는 뜻이고 , 대부분의 체인을 지원합니다.

비트겟 페이백까지 세팅해 드리고 있으니 위 배너를 통해 가입하시고 페이백까지 받아보세요! (시장가 0.02% 지정가 0.01%)

비트겟 멀티지갑
비트겟 멀티지갑

이런식으로 코인마다 (네트워크마다) 50개의 지갑을 지정하여 관리할수 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같은 지갑주소는 메모를 연동해 줬으면 좋았을텐데 , 연동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ex 이더리움 메인넷과 Base 체인은 주소가 같지만 메모는 연동이 안됨)

서브계정은 프로필 > Sub-Accounts > Create 를 통해 최대 20개 생성 가능합니다.

서브계정에서도 각각 50개씩 지갑 설정이 가능하니 , 총 1000개 +@의 지갑을 가질수 있게됨

서브계정에서 본계정으로 자금을 옮길때는 지갑 > Transfer > Main/Sub Account > 이체하시면 됩니다

OKX 멀티지갑 및 서브계정

OKX는 계정당 20개의 지갑을 지원하고 , 5개의 서브어카운트를 추가 가능합니다.

총 120개의 지갑을 사용 가능한것이죠. 다계정에 진심인 분들이 아니라면 120개로도 충분하실겁니다.

저는 점프스타트 한국인 금지 이후로는 잘 쓰지는 않습니다. 다만 3위 거래소라 비트겟보다 살짝 규모가 큰것같긴 합니다.

OKX 최대 혜택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시면 컨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모바일로 가입시 코드에 payback50 입력

서브계정은 프로필 > Sub-Accounts > Create Sub-Accounts 를 누르시면 생성 가능합니다.

OKX 입금주소
OKX 입금주소

OKX는 네트워크마다 20개의 지갑을 지정해서 관리할수 있습니다.


거래소마다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다르고 , 신규 코인 상장시 가격이 펌핑되는 정도도 다르기에 (최근에는 비트겟이 살짝 유리한듯) 웬만하면 둘다 가입해 두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현재 참여 가능한 에어드랍

에어드랍-증정금-이벤트-배너-700X100

에어드랍 I 기본 가이드

해외 거래소 계정을 만들어둬야 하는 이유 (에어드랍 작업에 필수)
다계정 가이드 – 지갑간 교류 방지하기

에어드랍 하기 위한 준비물

글로 쓰기 애매한 짧은 정보나 클레임 소식 등은 텔레그램에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래소 커미션 배너